PI(Process Innovation) 프로젝트를 통해서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기업은 우선적으로 전문화된 업무 메뉴얼을 확보할 수 있으며, 이를 사내업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.
또한 장기적으로 지식경영 등 추가적인 경영혁신 활동 도입을 위한 기반을 갖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수행방법
-
Step1
- 현행업무분석
- 현업 담당자 인터뷰 및 현장 방문
- 현행 문제점 파악 및 분석
-
Step2
- To-Be 운영방안 정의
- 타사 운영 모델 파악 및 GAP분석
- 개선기회 및 변화방향 도출
- To-Be 운영방안 논의
-
Step3
- To-Be 업무 재설계
- To-Be 세부 업무 재정의
- To-Be 업무 타당성 검토
- 사규 및 제도 정비
기대효과
-
- 1. 전사 관점의 혁신적 프로세스 개선
- 불필요한 관리적인 업무, 중복되는 업무, 부가가치를 가져오지 못하는 업무활동 등의 제거를 통한 프로세스 흐름의 합리화
- 업무 복잡성 및 사이클 타임의 감소를 통한 효율성 증대
-
- 2. To-Be 프로세스에 따른 To-Be 조직의 재정립
- 프로세스 변화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조직의 역할 재정립
- 체계적인 교육 및 Skill향상을 위한 변화관리 방안 도출
-
- 3. To-Be 프로세스에 따른 합리적인 성과 측정 기반 조성
- 변화된 프로세스에 가장 적합하고, 효과적인 성과향상 방안 도출
- 성과향상 Target 설정 및 관리를 위한 KPI 성과지표 개발
-
- 4. 혁신의 지속적 추진
- 비부가가치 활동/ 낭비요소 제거 지속
- 자발적인 변화노력 지속